계간 [장애인 먼저]에서 원고 청탁이 왔다. 내 글이 도움이 된다기에 주저없이 썼는데 다시 보니 미숙할 뿐이다.
희망을 주는 사람
울릉도에서 목회를 하시는 노(老)목사님이 육지에 볼일 보러 나오셨다며
연락이 왔기에 목사님을 모시고 식사 대접을 할 기회가 나에게도 주어졌다.
섬에서 10년을 넘게 사시는 분이라 해산물보다는 육식(肉食)이 더 낫겠다
싶어, 아내에게 맛있게 음식을 하는 곳으로 가자고 했다. 하여, 찾아간 곳이
간판도 휘황찬란하고 실내도 넓은 갈비집이었다.
식사를 마치고 화장실에 일을 보러 가는데 난감하다. 계단을 열 개 이상
을 올라가야 있는 것이다. 목발을 짚고 겨우 올라가 화장실에 들어가 보니
변기가 모두 좌변기다. 좌변기는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들에게는 치명적이다.
쪼그려 앉아서 일을 본다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이다. 결국 일을 보지 못하
고 다시 계단을 내려와 음식값을 계산하면서 작은 항의를 해 본다. "이렇게
큰 식당에서는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라도 화장실을 식당과 같은 층에 두어
야 하는 것 아니에요? 어쩔 수 없이 2층을 사용한다면 변기라도 양변기로
고쳐 놓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 저 같은 장애인은 다시 오려면 망설여지게
될 것 같습니다. 부지런히 돈을 벌어서 화장실부터 고쳐 주세요." 주인의 변
명을 들으며 식당을 나오는데 마음이 편하지 못했다.
나는 어디를 가던지 그곳의 화장실부터 문의를 한다. 아마 다리가 불편
한 장애우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리라. 화장실이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게 되
어 있다면 정중하게 그 장소를 사양한다. 그러면서 꼭 한마디하게 된다. "힘
든 줄은 알지만 내 가족 중에 다리 불편한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경사
로나 장애인용 변기를 설치해 주세요. 그러면 많은 사랑을 받을 것입니다."
라고 부탁을 하면 일단은 긍정적으로 받아 주는걸 경험한다. 물론 바로 시
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의 마음속에 조금이라도 장애인을 배려
하는 마음은 생겼으리라 믿는다. 때로는 우리 장애우들은 하고 싶은 말도
가슴속에 묻어 버릴 때가 많다. 항상 도움을 받는 처지라는 생각이 더 앞서
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들 스스로가 작은 부분이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참 중요하다. 우리의 작은 소리가 희
망이다.
나는 장애인 선교회 일을 하다 보니 종종 간증 집회를 하게 된다. 물론
교회에서 초청을 하여 강사로 가게 되는 것이다. 지체1급 장애인이지만 말
은 잘할 수 있기에 대중들 앞에서 이야기를 하는데는 지장이 없다. 집회 때
마다 내가 하는 소리가 있다. "이세상에서 저를 부러워하는 사람이 1억명은
넘습니다. 여러분은 이세상에서 여러분을 부러워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됩
니까?"라고 질문을 한다. 상대방은 그런 질문을 받으면 당황하여 머뭇거리
기 일쑤다.
그러면 나는 이렇게 설명을 해 준다. "저는 1급 지체 장애인이지만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말을 할 수 있으니 말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분들이 저를
부러워 할 것입니다. 저는 컴퓨터를 독학으로 익혀서 6년째 월간지를 2,500
권씩 손수 만들어 회원들에게 보내고 있고, 통신에서도 4개의 동아리를 운
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컴퓨터를 못하시는 분들은 저를 부러워 할 것입
니다. 텔레비전에서 보니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한글을 배우려고 애쓰시고
계셨습니다. 저는 한글을 알고 작가로 등단까지 했으니 그분들도 한글을 아
는 저를 부러워 할 것입니다. 이렇게 따지니 저를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세
상에서 1억명은 훨씬 넘는다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때서야 웃
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희망이 될 수 있다. 상대방에게 희망이 되는 것은 무척 어려운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전혀 어렵지 않다. 그 이유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
리를 부러워하는 사람이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 나를 부러워하고 있
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새로운 힘이 생긴다. 생각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변
하게 된다. 긍정적으로 변하게 되면 우리의 행동도 긍정적이 된다. 중요한
것은 깨닫는 것이다. 내가 남에게 피해만 끼치는 사람이 아니라 이제는 누
군가에게 희망이 되는 사람이란 것, 그것을 깨닫는 것이다. 힘들고 어려워도
절망치 말자. 내가 힘들 때 다른 사람도 힘들다. 그러나 그 사람들은 힘든
것을 희망으로 바꾸기 때문에 힘들지 않게 보일 뿐이다. 희망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호흡 있는 그 순간까지 우리는 희망을 주는 사람들이다.
2001.10.15
양미동
희망을 주는 사람
울릉도에서 목회를 하시는 노(老)목사님이 육지에 볼일 보러 나오셨다며
연락이 왔기에 목사님을 모시고 식사 대접을 할 기회가 나에게도 주어졌다.
섬에서 10년을 넘게 사시는 분이라 해산물보다는 육식(肉食)이 더 낫겠다
싶어, 아내에게 맛있게 음식을 하는 곳으로 가자고 했다. 하여, 찾아간 곳이
간판도 휘황찬란하고 실내도 넓은 갈비집이었다.
식사를 마치고 화장실에 일을 보러 가는데 난감하다. 계단을 열 개 이상
을 올라가야 있는 것이다. 목발을 짚고 겨우 올라가 화장실에 들어가 보니
변기가 모두 좌변기다. 좌변기는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들에게는 치명적이다.
쪼그려 앉아서 일을 본다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이다. 결국 일을 보지 못하
고 다시 계단을 내려와 음식값을 계산하면서 작은 항의를 해 본다. "이렇게
큰 식당에서는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라도 화장실을 식당과 같은 층에 두어
야 하는 것 아니에요? 어쩔 수 없이 2층을 사용한다면 변기라도 양변기로
고쳐 놓아야 하는 것 아닙니까? 저 같은 장애인은 다시 오려면 망설여지게
될 것 같습니다. 부지런히 돈을 벌어서 화장실부터 고쳐 주세요." 주인의 변
명을 들으며 식당을 나오는데 마음이 편하지 못했다.
나는 어디를 가던지 그곳의 화장실부터 문의를 한다. 아마 다리가 불편
한 장애우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리라. 화장실이 장애인이 사용할 수 없게 되
어 있다면 정중하게 그 장소를 사양한다. 그러면서 꼭 한마디하게 된다. "힘
든 줄은 알지만 내 가족 중에 다리 불편한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경사
로나 장애인용 변기를 설치해 주세요. 그러면 많은 사랑을 받을 것입니다."
라고 부탁을 하면 일단은 긍정적으로 받아 주는걸 경험한다. 물론 바로 시
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의 마음속에 조금이라도 장애인을 배려
하는 마음은 생겼으리라 믿는다. 때로는 우리 장애우들은 하고 싶은 말도
가슴속에 묻어 버릴 때가 많다. 항상 도움을 받는 처지라는 생각이 더 앞서
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들 스스로가 작은 부분이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참 중요하다. 우리의 작은 소리가 희
망이다.
나는 장애인 선교회 일을 하다 보니 종종 간증 집회를 하게 된다. 물론
교회에서 초청을 하여 강사로 가게 되는 것이다. 지체1급 장애인이지만 말
은 잘할 수 있기에 대중들 앞에서 이야기를 하는데는 지장이 없다. 집회 때
마다 내가 하는 소리가 있다. "이세상에서 저를 부러워하는 사람이 1억명은
넘습니다. 여러분은 이세상에서 여러분을 부러워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됩
니까?"라고 질문을 한다. 상대방은 그런 질문을 받으면 당황하여 머뭇거리
기 일쑤다.
그러면 나는 이렇게 설명을 해 준다. "저는 1급 지체 장애인이지만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말을 할 수 있으니 말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분들이 저를
부러워 할 것입니다. 저는 컴퓨터를 독학으로 익혀서 6년째 월간지를 2,500
권씩 손수 만들어 회원들에게 보내고 있고, 통신에서도 4개의 동아리를 운
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컴퓨터를 못하시는 분들은 저를 부러워 할 것입
니다. 텔레비전에서 보니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한글을 배우려고 애쓰시고
계셨습니다. 저는 한글을 알고 작가로 등단까지 했으니 그분들도 한글을 아
는 저를 부러워 할 것입니다. 이렇게 따지니 저를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세
상에서 1억명은 훨씬 넘는다는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때서야 웃
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희망이 될 수 있다. 상대방에게 희망이 되는 것은 무척 어려운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전혀 어렵지 않다. 그 이유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
리를 부러워하는 사람이 반드시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 나를 부러워하고 있
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새로운 힘이 생긴다. 생각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변
하게 된다. 긍정적으로 변하게 되면 우리의 행동도 긍정적이 된다. 중요한
것은 깨닫는 것이다. 내가 남에게 피해만 끼치는 사람이 아니라 이제는 누
군가에게 희망이 되는 사람이란 것, 그것을 깨닫는 것이다. 힘들고 어려워도
절망치 말자. 내가 힘들 때 다른 사람도 힘들다. 그러나 그 사람들은 힘든
것을 희망으로 바꾸기 때문에 힘들지 않게 보일 뿐이다. 희망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호흡 있는 그 순간까지 우리는 희망을 주는 사람들이다.
2001.10.15
양미동
'나와 너, 그리고 > 나눔의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엿 먹어라 (0) | 2007.01.16 |
---|---|
[수필] 내가 행복하다는 것은... (0) | 2007.01.16 |
[수필] 그의 고백이 참 좋았다. (0) | 2007.01.16 |
[단상] 설레임 (0) | 2007.01.16 |
[시] 멍 (0) | 200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