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특정 문형을 수반하는 부사어
특정 부사어는 항상 특정 문형을 수반한다. 예컨대 ‘결코’는 ‘아니/안’ 따위의 부정을 나타내는 단어와 어울려 부정문을 이끈다.
또 ‘어찌’는 의문이나 반어의 표현을 수반한다. 이같은 원칙을 위반하면 비문이 되기 쉽다. 부정문을 수반하는 부사어로는 그리, 그다지, 별로, 과히, 전혀, 도무지, 조금도, 도저히, 좀처럼, 절대로 등이 있다.
○ 그는 결코 남을 해칠 사람이 아니다.
○ 그는 결단코 그 일을 해내지 못한다.
○ 여기서 역까지는 그다지 멀지 않다.
○ 그가 무슨 말을 했는지 도무지 생각나지 않는다.
○ 그같은 행위를 도저히 못 참겠다.
○ 나는 그가 오리라고 전혀 생각 못했다.
○ 이런 기회는 좀처럼 오지 않는다.
한데 이들 부사와 어울리는 부정어는 정해진 위치가 있는 것 같다. 아래 부정어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예문들을 보자.
가) 좀처럼 가려고 하지 않았다.
나) 좀처럼 가지 않으려고 했다.
다) 좀처럼 안 가려고 했다.
위의 예문들은 모두 일상 언어활동에서 큰 무리 없이 쓰이는 표현 방식이다. 그러나 꼼꼼히 들여다보면 나)와 다)는 어법에 어긋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예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처럼 구조를 갈라보았다.
(가) 좀처럼 + 가려고 하지 + 않았다.
(나) 좀처럼 + 가지 않으려고 + 했다.
(다) 좀처럼 + 안 가려고 + 했다.
이처럼 문장의 구조를 갈라놓고 보니 (가)는‘좀처럼 ~하지 않았다’가 되고, (나)는 ‘좀처럼 ~하려고 했다’가 된다. (다) 역시 (나)와 마찬가지 구문이다. 즉 (나)와 (다)는 부사어 ‘좀처럼’이 요구하는 바의 부정문 형태는 아니다. 예문을 한 가지 더 들어보자.
◇그는 결코 남을 해칠 사람이 아니다.
◇? 그는 결코 남을 안 해칠 사람이다.
‘결코’도 ‘좀처럼’과 마찬가지로 부정을 수반하는 부사이다. 두 번째 문장에서 ‘결코’가 미치는 부분은 문장 끝까지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은 ‘결코~할 사람이다’가 되는데, 그렇다면 비문일 수밖에 없다. 다만, 이 문장을 이같이 구조적으로 갈라 분석하는 방법이 타당한지는 확실히 단정하지 못하겠다.
이밖에 ‘절대’는 금지문을, ‘고작’‘아무러면’‘얼마나’는 의문문을 수반한다.
○ 어린이는 담배를 피우면 절대 안된다
○ 한다는 짓이 고작 이거냐
○ 아무러면 그 정도도 해내지 못하랴
...
특정 부사어는 항상 특정 문형을 수반한다. 예컨대 ‘결코’는 ‘아니/안’ 따위의 부정을 나타내는 단어와 어울려 부정문을 이끈다.
또 ‘어찌’는 의문이나 반어의 표현을 수반한다. 이같은 원칙을 위반하면 비문이 되기 쉽다. 부정문을 수반하는 부사어로는 그리, 그다지, 별로, 과히, 전혀, 도무지, 조금도, 도저히, 좀처럼, 절대로 등이 있다.
○ 그는 결코 남을 해칠 사람이 아니다.
○ 그는 결단코 그 일을 해내지 못한다.
○ 여기서 역까지는 그다지 멀지 않다.
○ 그가 무슨 말을 했는지 도무지 생각나지 않는다.
○ 그같은 행위를 도저히 못 참겠다.
○ 나는 그가 오리라고 전혀 생각 못했다.
○ 이런 기회는 좀처럼 오지 않는다.
한데 이들 부사와 어울리는 부정어는 정해진 위치가 있는 것 같다. 아래 부정어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예문들을 보자.
가) 좀처럼 가려고 하지 않았다.
나) 좀처럼 가지 않으려고 했다.
다) 좀처럼 안 가려고 했다.
위의 예문들은 모두 일상 언어활동에서 큰 무리 없이 쓰이는 표현 방식이다. 그러나 꼼꼼히 들여다보면 나)와 다)는 어법에 어긋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예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처럼 구조를 갈라보았다.
(가) 좀처럼 + 가려고 하지 + 않았다.
(나) 좀처럼 + 가지 않으려고 + 했다.
(다) 좀처럼 + 안 가려고 + 했다.
이처럼 문장의 구조를 갈라놓고 보니 (가)는‘좀처럼 ~하지 않았다’가 되고, (나)는 ‘좀처럼 ~하려고 했다’가 된다. (다) 역시 (나)와 마찬가지 구문이다. 즉 (나)와 (다)는 부사어 ‘좀처럼’이 요구하는 바의 부정문 형태는 아니다. 예문을 한 가지 더 들어보자.
◇그는 결코 남을 해칠 사람이 아니다.
◇? 그는 결코 남을 안 해칠 사람이다.
‘결코’도 ‘좀처럼’과 마찬가지로 부정을 수반하는 부사이다. 두 번째 문장에서 ‘결코’가 미치는 부분은 문장 끝까지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은 ‘결코~할 사람이다’가 되는데, 그렇다면 비문일 수밖에 없다. 다만, 이 문장을 이같이 구조적으로 갈라 분석하는 방법이 타당한지는 확실히 단정하지 못하겠다.
이밖에 ‘절대’는 금지문을, ‘고작’‘아무러면’‘얼마나’는 의문문을 수반한다.
○ 어린이는 담배를 피우면 절대 안된다
○ 한다는 짓이 고작 이거냐
○ 아무러면 그 정도도 해내지 못하랴
...
'나와 너, 그리고 > 문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어와 술어의 호응(2) (0) | 2007.01.17 |
---|---|
주어와 술어의 호응(1) (0) | 2007.01.17 |
부사를 알면 글맛을...(중) (0) | 2007.01.17 |
부사를 알면 글맛을 안다?(상) (0) | 2007.01.17 |
長文의 함정-3(단어중첩) (0) | 2007.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