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너, 그리고/문학의 이해

주격연쇄형 문장의 글맛(중)

자오나눔 2007. 1. 17. 15:05
2. 주격조사 ‘이/가’의 중첩

‘이/가’의 중첩은 속담에 많이 보인다. 아래 속담에서 예문과 고침 문장을 비교해보며 어떤 표현이 자연스러운지 판단해보자.

1) 도둑이 제 발이 저린다.
1-1) 도둑이 제 발 저린다.
2) 벼린 도끼가 이가 빠진다.
2-1) 벼린 도끼가 이 빠진다.

이같은 주어연쇄형은 어찌 보면 우리 말글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이 얼음이 된다’는 ‘물이 얼음으로 변한다’보다 간단하고 자연스럽기도 하다. 그러므로 잘못된 글은 아니며 억지로 피할 것도 없다. 단지 자연스런 글의 흐름에 방해할 뿐이다. 또 주어가 두 개 라는 점에 신경을 쓰다 보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해치는 등 더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주어연쇄형 문장은 가급적 피한다는 생각을 하되 기본 뜻을 해치지 않고 달리 표현하기가 마땅치 않다면 그대로 쓰는 게 나을 듯하다. 아래에 주어가 연이어 나오는 문장과 이를 해소한 문장을 나열해 보았다.

3) 필기도구는 만년필이 쓰기가 더 잘 써진다.
3-1) 필기도구는 만년필이 더 잘 써진다.
3-2) 필기도구는 만년필이 쓰기 편하다.

앞서 주격 연쇄형 문장의 개념을 2개 이상의 주어가 연쇄적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이 때 주어와 주어 사이에 단어나 구절이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이 역시 주격 연쇄형에 포함되며 글의 흐름을 방해하기는 마찬가지다.

4) 너 감기가 든 것이 아니냐.
4-1) 너 감기가 든 것 아니냐.
4-2) 너 감기 걸린 것(이) 아니냐.

5) 마음이 착한 소년이 서 있다.
5-1) 마음 착한 소년이 서 있다.

6) 환경문제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6-1) 환경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6-2) 환경문제가 점점 심각해져 가고 있다.

7) 향기가 좋은 꽃이 피어 있다.
7-1) 향기 좋은 꽃이 피어 있다.

8) 사회 과학의 객관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대상을 관찰하고 증거를 제시하는 연구자 자신이 특정 집단의 가치와 관점 및 이해관계가 개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8-1) 사회 과학의 객관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대상을 관찰하고 증거를 제시하는 연구자 자신이 특정 집단의 가치와 관점 및 이해관계에 종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계속)...